지난 4일 대구 달서구 성당동 원룸에서 일어난 화재의 경우 헐거워진 콘센트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. 당시 진압에 나섰던 소방관들에 따르면 벽면에 부착된 콘센트와 전자기기의 플러그 부분이 심하게 탄 것으로 미뤄 화재원인이 콘센트 취급 부주의 때문이라는 것. 지난달 24일 북구 태전동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도 콘센트 접촉불량으로 보고 있다.
소방관계자들은 전기 사용 습관만 바꿔도 화재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충고하고 있다. 노무학 대구소방본부 조사훈련팀 조사반장은 "상당수 가정에서 문어발식으로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가 하면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합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등 전기 사용에 너무 무신경하다."고 지적했다.
전기 관련 전문가들도 콘센트 취급 부주의로 인한 화재를 줄이기 위해선 콘센트 사용 방법 및 주변 환경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. 안재환 한국전력공사 대구사업본부 내선파트장은 "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때는 빡빡한 느낌이 들 정도로 꽂아야 한다."며 "이는 수돗물이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로, 전기가 오가는 통로인 콘센트와 플러그의 연결에 틈이 없어야 전기가 원활하게 흐른다."고 말했다. 또 "콘센트의 경우 수명이 없지만 플러그를 자주 꽂았다 뺐다 하면 접속 부분의 탄성이 사라져 헐거워지기 때문에 노출형 멀티탭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."고 덧붙였다.
이은우 한국전기안전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 법정검사팀장도 "콘센트가 큰 힘들임 없이 그냥 쑥 들어가면 콘센트가 헐거워진 것으로 보면 된다."며 "이런 경우 콘센트 주위에 먼지 등 전도체까지 있다면 화재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."고 말했다.
출처:매일신문'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절전형 콘센트 (0) | 2007.02.03 |
---|---|
전기 화재 예방 방법 (0) | 2007.02.03 |
화재 위험 전열기구 사용 조심해야 (1) | 2007.02.03 |
콘센트회로 (0) | 2007.01.07 |
전기기호 (0) | 2006.12.23 |